Index
프레임워크 모음
Platform(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버전, 릴리즈 관리 체계)
Vulnerabilities (취약점 관리 체계)
- CVE (Common Vulnerabilities and Exposures)
- KVE
- 하드웨어/소프트웨어 공급사 공지를 확인
- CNVD (China National Vulnerability Database)
- 실제 관제를 수행함에 있어 중국의 프레임워크를 참고해야 할 수 있다.
- JVN (Japan Vulnerability Notes)
- JPCERT와 IPA에서 운영되는 취약점 정보 및 해결책을 제공, 일본 제품군을 사용한다면 확인
- 참고로, TrendMicro는 일본회사이기 때문에 JVN에 관련 취약점 목록이 나온다.
- EUVD (European Vulnerability Database)
- ENISA에서 운영 중인 취약점 분류 체계로 사이트에 들어가면 CVE와 GSD 등 취약점 체계와 매핑이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.
- OSV (Open Source Vulnerabilities)
- 구글이 주도하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취약점 데이터베이스, 해당 사이트에 오픈소스 취약점 스캐너 또한 제공한다.
- GSD (Global Security Database)
- 2025년에 확인 결과 취약점 매핑 등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보아서는 중단 또는 정체된 프로젝트로 보임. 관리 주체가 없기 때문에 사실상 성공하기 힘든 것으로 보인다.
보안 약점 프레임워크
- CWE (Common Weakness Enumeration)
- 공통 보안 약점 목록, https://cwe.mitre.org/
- 공격을 받는 입장으로써 공격 분류를 CWE로 하는 경우가 있다.
보안 공격 프레임워크
- CAPEC (Common Attack Pattern Enumeration and Classification)
- 공통 보안 공격 패턴 목록 및 분류, https://capec.mitre.org/
- 보안관제에서 공격을 받는 입장이지만, 공격 수행을 기준으로 CAPEC으로 공격 분류를 하는 경우가 있다.
보안 전략/전술/절차(TTP) 체계
- MITRE ATT&CK (Adversarial Tactics, Techniques, and Common Knowledge)
- 악의적 보안 전략, 기술, 공통 지식, https://attack.mitre.org/
- Cyber Kill Chain
- 미국 군수업체인 록히드 마틴(Lockheed Martin)의 킬체인을 사이버 보안으로 재해석한 Kill Chain
Application(애플리케이션) 보안
- OWASP (Open Worldwide Application Security Project)
- OWASP Top 10으로 유명한 비영리 보안 프로젝트, https://owasp.org/
- 현재는 AI, API 보안에도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.
- Application Security Tactics & Techniques Matrix
- 2025년 기준 새로 나온 프레임워크로 4개의 라이프사이클과 6개의 전략(Tatics)으로 구성되어 있다.
- AppSec에 대한 내용이다.
- https://app-attack-matrix.com/
인공지능(Artificial Intelligence) 보안
2025년 기준, AI 보안은 Application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Application 보안의 하위 개념으로 보고 있다.
- OWASP Top 10 for Large Language Model Applications
- LLM 기반 어플리케이션의 취약점을 다루는 프레임워크
- MITRE ATLAS
- ATLAS (Adversarial Threat Landscape for Artificial-Intelligence Systems)는 AI 기반 시스템에 대한 적대적 전술과 기술을 다루는 프레임워크다.
- NIST AI RMF(Risk Management Framework)
- NIST에서 제공하는 AI 관리 프레임워크
Threat Modeling (위협 모델링)
- Microsoft, STRIDE
- Microsoft에서 보안 위협을 식별하기 위한 모델, 1999년에 나온 개념이다.(Wikipedia)
- Lockheed Martin, STRIDE-LM (PDF)
- 록히드 마틴(Lockheed Martin)에서 기존 STRIDE는 소프트웨어 공학/개발을 초점으로 두었기 때문에 Lateral Movement(내부 확산)을 추가한 위협 모델링이다.
- 활용사례
- Attack Tree
- 1999년에 Bruce Schneier가 만든 이론으로 자산 또는 대상이 어떻게 공격받을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개념적 다이어그램
보안 통제 프레임워크
- NIST CSF(Cybersecurity Framework)
- 보안 위험에 초점을 둔 프레임워크
- 핵심기능: Govern(관리), Identify(식별), Protect(보호), Detect(탐지), Respond(대응), Recover(복구)
- Tier(성숙도 단계):
- Partial(부분 적용)
- Risk Informed(위험정보 활용)
- Repeatable(위험정보 활용/반복)
- Adaptive(적응)
- 참고문서
인증 제도
- ISO/IEC 27001
-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(ISMS)에 대한 국제 표준 (Wikipedia)
- 구성(단원, Unit)의 경우 아래와 같다. 번역은 한국표준협회(KSA)를 따른다.
- Context of the organization (조직상황)
- Leadership (리더십)
- Planning (계획)
- Support (지원)
- Operation (운용)
- Performance evaluation (성과 평가)
- Improvement (개선)
- 부록
- ISMS-P
-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일련의 조치와 활동이 인증기준에 적합함을 인터넷진흥원 또는 인증기관이 증명하는 제도
- 인증 체계
- 관리체계 수립 및 운영 (16개)
- 보호대책 요구사항 (64개)
- 개인정보 처리단계별 요구사항 (21개)
- SOC 2 (System and Organization Controls 2) Type ii
- PCI DSS (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)